판매가 | 800,000원 |
---|---|
배송방법 | 택배 |
배송비 | 3,500원 (10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
적립금 |
|
재고 수량 | 1개 |
결제수단 | 카드 결제, 무통장 입금, 적립금 |
SNS 상품홍보 | ![]() ![]() |
---|
![]() |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1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엘피판 상태는 아래에 상품상세 정보를 참고하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명 | 상품수 | 가격 |
---|---|---|
일정시대 고위관료 친일파 4인합작 서예 족자 |
![]() ![]() |
800000 ( |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
일정시대 진일파 고위관료 4인합작 서예글 입니다
족자전채크기: 57 x 203 cm
글씨만크기: 43 x 126 cm
실크에 글씨 ~일정시대 귀한 자료 입니다
성명인: 이진호인(李珍鎬印) 호인: 성재(星齋)
---
성명인: 상백현(尙百鉉) 호인: 백당(白塘).
성명인: 이범래인(李範來印) 호인: 하정(河汀)
---
성명인: 조희연(趙羲淵) 호 인: 기원(杞園)
성재(星齋) 이진호
유형
인물
시대
근대/일제강점기
출생 - 사망
1867년(고종 4) 8월 2일 ~ 1946년 9월 3일
성격
무관, 고위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출신지
서울
성별
남
본관
전의(全義)
관련사건
동학농민전쟁, 청일전쟁, 춘생문사건
대표관직(경력)
평안남도관찰사, 전라북도지사, 조선총독부 학무국장, 중추원 부의장, 일본제국의회 귀족원의 칙선의원
백당 상백현
漢城 西署 盤石坊 舊巡廳契 巡廳洞 第三十二統 第十三戶
출전
1) 관원이력 16책, 429
경력및활동
1) 1888년 五월7일 文科初試
1890년 1월 27일 懿寧園守奉官
1894년 7월 4일 機務處百各司文調査官
동 동19일 軍務衙門主事 奏任陞六品
1895년 2월 12일 軍務衙門參議 奏任陞正三品
동 동24일 比安縣監
동 4월 13일 免本官 不赴任
이범래(李範來)
1868년(고종 5) 4월 25일∼미상. 일제 강점기 관료. 본관은 광주(廣州)이며, 본적은 경성부(京城府: 현 서울) 종로구(鍾路區) 혜전후동(鞋廛後洞: 현 관철동(貫鐵洞)이다.
1894년(고종 31) 장위영 영관을 지냈으며, 1895년(고종 32) 훈련대 제2대대 중대장으로 명성황후 시해사건에 참여하였다. 사건 직후 개편된 친위대에서 제1대대 대대장을 맡았으며, 고종의 궁궐 탈출을 돕고 친일내각의 전복을 목적으로 일어난 춘생문 사건 당시 군부대신 어윤중(魚允中)에게 사건 발생을 미리 알려 친일내각의 유지를 지원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명성황후 시해사건에 관련되어 1896년(건양 1)에 일본으로 피신하였으며, 1907년(융희 1) 귀국하여 특별사면을 받았다.
1908년(융희 2) 함경남도관찰사로 재직하면서 함경남도 재판소 판사를 겸임하였다. 경숙국치 후인 1910년(융희 4) 10월 함경북도 참여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참여관 재직 시절인 1912년 일본 정부로부터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다.
1914년부터 1917년까지 함경북도 지방토지조사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으며, 재직 중이던 1915년에는 일본 정부로부터 대정대례기념장을 받았다. 1917년 평안남도 참여관으로 임명되어 1921년까지 그 직을 역임하였다. 평안남도 참여관으로 재직 당시인 1918년 평안남도 지방토지조사위원회 위원을 지냈으며, 구주시찰단의 단장으로 일본 규슈 지역을 시찰하기도 하였다. 매일신보사가 주최한 구주시찰단의 목적은 조선의 유력 인사들에게 일본의 선진문물 안내와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 조선에 대한 통치정책을 선전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시찰단의 단장으로 활동하면서 각지에서 마련된 환영회 자리에서 연설을 맡아 행하였으며, 귀국 후에는 평안남도 유력 인사들에게 구주시찰단의 성과를 보고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이와 같이 참여관으로 재직하면서 일제의 식민통치에 협력한 공로를 인정받아 1920년 일본 정부로부터 훈4등 서보장을 받았다
성명인: 조희연(趙羲淵)
심원(心源), 기원(杞園), 오무라 지사부로(大村智三郞)
분야
근대사
유형
인물
시대
근대-일제강점기
성격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성별
남
출생일
1856년(철종 7) 5월 26일
사망일
1915년 7월 20일
본관
평양(平壤)
경력
군부대신, 궁내부 특진관, 남작, 중추원 고문
관련사건
갑오개혁, 아관파천
정의
대한제국기 궁내부특진관, 표훈원총재, 대한공업회총재 등을 역임한 관료.친일반민족행위자.
개설
1856년 5월 26일 경기도 통진에서 출생했다. 본관은 평양(平壤)이고, 자는 심원(心源), 호는 기원(杞園)이다. 아버지는 좌참찬 조존혁(趙存赫)이다. 국권피탈 후 황해도장관을 지낸 조희문(趙羲聞)의 형이다. 조선 말기에 기기국 방판, 창원부사, 군부대신 등을 역임하였으며, 대한제국기에 궁내부 특진관, 표훈원 총재, 대한공업회 총재 등으로 활동했다. 일제강점기에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중추원 고문을 지냈다. 1915년 7월 20일 사망했다.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에 대해 궁금한 점을 해결해 드립니다.
게시물이 없습니다